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응급처치 하임리히법
- 심장을 강화하는 연근(蓮根)과 연자육(蓮子肉)
- 바나나껍질 유용하게 할용하는 팁
- 심장마비와 심장정지 구분하는 방법
- 전기사고 대처법
- 공공서비스 중단 시 대처방법
- 김치냉장고의 다양한 활용법
- 귀에 이물질이 들어갔을 경우
- 겨울날씨에 뇌.심혈관환자의 주의사항
- 목욕할 때 피부 보호법
- 중고제품 고르는 노하우
- 간암의 특성 및 대처법
- 흉통이 있을 때 대처법
- 대합의 효능
- 생활속에서 커피 활용하는 방법
- 치질에 특효약인 비자(榧子) 민간요법
- 오이 꼭지. 참외 꼭지의 민간요법
- 상처 효과적으로 씻는 방법
- 협심증과 심근경색증의 구별법
- 심혈관 질환의 증상
- 대합의 민간요법
- 등산 중 가슴통증 이유
- 가스누출 발생시 환자 응급처치요령
- 고혈압 환자가 반드시 지켜야 할 점
- 먹거리로 콜레스테롤 낮추는 방법
- 녹각교의 민간요법
- 추운 날 혈압상승 예방법
- 등산 중 가슴통증이 심하다면
- 소화 기능 관련 민간요법
- 흉통의 진단
- Today
- Total
늘봄健康
한방요법, 감기에 좋은 차 본문
오늘의 민간요법으로..., 한방요법, 감기에 좋은 차를 올려드립니다.
날씨가 매섭다가도 겨울비가 내리면 온화한 느낌이 드는 겨울 날씨가 계속됩니다.
이럴 땐 환절기 못지 않은 감기환자가 늘어나게 됩니다.
저 역시 감기에 취약한 체질인데..., 이럴 때 마시는 차가 한방요법으로 각광받는 감기에 좋은 차입니다.
한방요법, 감기에 좋은 차
@ 유자차
유자차는 비타민 C가 레몬보다 3배나 많아 감기와 피부미용, 피로회복에 좋고 모세혈관 보호 기능이 있어 뇌혈관 장애와 풍을 예방해 줍니다.
@ 모과차
모과는 알칼리성 식품으로 감기와 기침, 기관지염, 열을 내리게 해줍니다. 또 속이 울렁거리거나 설사가 날 때 먹으면 편안해지는 효과가 있습니다.
근육의 뭉침을 풀어주어 쥐가 자주 나는 사람에게 좋고 목이 뻣뻣한 증상에도 도움이 됩니다.
@ 구기자차
구기자는 강장, 해열, 간기능 회복에 쓰이는 약재입니다. 눈이 건조하고 침침해지고, 허리와 무릎관절이 약해지고 근력이 약해진 경우에도 좋습니다. 구기자 특유의 달큰한 향기가 있어서 차로 끓이면 좋습니다.
다만, 감기로 열이 있거나 몸에 습기가 있고 설사가 나는 경우에는 좋지 않습니다. 구기자가 콜레스테롤 흡수를 억제하는 효과가 뛰어나고 고지혈증과 동맥경화를 일으키는 콜레스테롤 형성을 억제하여 성인병의 치료 및 예방효과가 탁월하다고 하니 평소에 과식하는 분이 드시면 좋을 듯합니다.
@ 대추차
대추에는 노화를 방지하는 비타민 P의 함량이 많아 예부터 건강차로 애용해왔으며 신경쇠약 불면, 빈혈, 식욕부진 등에 효과가 있습니다. 잠이 잘 안오고 불안감이 자주 오는 사람에게 좋은 차입니다.
자주는 아니지만 종종 대추차를 끓여 먹는데, 진한 대추차를 만들고 싶다면..., 대추 150g을 잘 씻어서 찬물 2.5L에 넣고 끓이다가 약불로 3~4시간 정도 끓여서 굵은 체에 걸러서 따뜻하게 마시면 됩니다.
대추차는 설탕을 타지 않아도 단맛이 강합니다. 피로가 풀리고 노곤해지는 저녁때 마시면 좋습니다.
@ 생강차
생강은 혈액순환을원활히 해주고 감기에 효능이 있는 차입니다. 또 비타민 C와 단백질이 풍부해 위장을 보호하고 장을 튼튼하게 해주는 효과가 있습니다. 그리고 숙취해소에 도움이 됩니다.
생강은 더운 약재라서 저혈압 환자에서 혈관운동을 활발하게 하고 수족냉증을 치료합니다. 소화액 분비를 증가시켜 식욕을 돋우고, 배에가스가 찼을 때 사용하여 가스 배출을 잘 시킵니다.
생강차는 크고 내부가 흰 생강 3통을 골라 껍질을 벗긴 후 얇게 저며 썬 후 물 4컵을 붓고 30분 정도 끓인 후 체에 받칩니다. 배.대추 등과 함께 끓이기도 합니다. 생강 맛을 빨리 우러나게 하려면 믹서에 갈아 끓이기도 합니다.
그냥 먹기에는 매운 맛이 강하므로 기호에 따라 꿀을 넣어도 좋습니다. 감기기운이 잇을 때나 몸이 찬 사람은 따뜻하게 데워서 마십니다. 많이 매워하는 사람은 굳이 데우지 않아도 되며, 생강을 끓이는 대신 뜨거운 물에 생강즙을 떨어뜨려 먹을 수 있습니다.
@ 주의사항
유자차나 모과차는 유자청이나 모과청을 만들어 먹는 경우가 많은데, 이를 만드는 과정에서 꿀이나 설탕이 많이 들어갑니다.
따라서 당뇨병이 있는 분들은 많이 드시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民間療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쇠비름의 효능, 쇠비름 민간요법 (0) | 2016.01.16 |
---|---|
민간요법용 약재 채집 방법 (0) | 2016.01.11 |
코피 멎게 하는 민간요법과 생활습관 (0) | 2016.01.07 |
사과식초를 이용한 무좀 민간요법 (0) | 2015.12.26 |
신경통과 딸기, 고혈압과 솔잎의 약성궁합 (0) | 2015.12.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