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협심증과 심근경색증의 구별법
- 심혈관 질환의 증상
- 흉통이 있을 때 대처법
- 생활속에서 커피 활용하는 방법
- 먹거리로 콜레스테롤 낮추는 방법
- 귀에 이물질이 들어갔을 경우
- 응급처치 하임리히법
- 김치냉장고의 다양한 활용법
- 가스누출 발생시 환자 응급처치요령
- 공공서비스 중단 시 대처방법
- 흉통의 진단
- 등산 중 가슴통증 이유
- 중고제품 고르는 노하우
- 바나나껍질 유용하게 할용하는 팁
- 소화 기능 관련 민간요법
- 목욕할 때 피부 보호법
- 대합의 효능
- 겨울날씨에 뇌.심혈관환자의 주의사항
- 상처 효과적으로 씻는 방법
- 추운 날 혈압상승 예방법
- 심장마비와 심장정지 구분하는 방법
- 오이 꼭지. 참외 꼭지의 민간요법
- 녹각교의 민간요법
- 간암의 특성 및 대처법
- 고혈압 환자가 반드시 지켜야 할 점
- 대합의 민간요법
- 심장을 강화하는 연근(蓮根)과 연자육(蓮子肉)
- 전기사고 대처법
- 치질에 특효약인 비자(榧子) 민간요법
- 등산 중 가슴통증이 심하다면
- Today
- Total
늘봄健康
주의해서 먹어야 할 약 본문
오늘은 주의해서 먹어야 할 약에 대해 알아보렵니다.
미국에서는 의사 처방이 필요 없는 10만여개의 일반약이 대형마트와 편의점에서 팔고 있다고 합니다.
우리나라도 지난 2012년 11월부터 해열진통제와 감기약, 소화제, 파스 등 13개 품목의 안전상비의약품을 편의점에서 쉽게 살 수 있게 됐습니다.
이러한 편의점 상비약들은 쉽게 구할 수 있는 만큼 약물 오남용의 우려도 상존하는 것도 사실입니다.
다음은 주의해서 먹어야 할 약 몇가지를 소개합니다.
주의해서 먹어야 할 약
@ 종합감기약
소비자들은 감기, 기침, 독감 등을 한꺼번에 아우르는 종합감기약을 쉽게 찾게 됩니다.
게으른 사람들은 약병의 설명서를 잘 읽지 않는데, 대부분의 경우 다양한 증상이 한꺼번에 나타나진 않습니다.
여러 가지 성분이 복합된 약은 약물 부작용의 위험에 빠뜨릴 수도 있다고 합니다.
대부분의 종합감기약은 열을 내리거나 인후통 증상을 잡는 주요 성분 중 하나인 ‘아세트아미노펜’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아세트아미노펜을 주성분으로 한 타이레놀의 경우 정해진 1일 투여량을 초과복용하면 간 손상이나 사망에 이를 수 있어 조심해야합니다.
@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
직장에서도 두통, 허리통증, 경련이 일어날 때 ‘이부프로펜’이나 ‘니프록센’ 성분의 진통제를 자주 찾습니다.
이러한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에 오랫동안 의존하면 메스꺼움과 변비를 동반한 위장 질환 등 일반적으로 알려진 부작용보다 더 심각한 합병증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최근 미국 FDA는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의 허가사항을 변경해 심장 마비와 뇌졸중의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다는 내용을 포함시켰다.
10일 이상 장기 복용할 때에는 설명서의 지시를 따르고, 의사와 상담해야 한다는 것도 알아두시기 바랍니다..
@ 제산제
과식 후 위장약을 먹는 것은 큰 문제가 없지만, 속 쓰림을 없애려고 2주 이상 위산억제제를 복용하면 안 됩니다.
위산역류 증상을 가진 일부 환자는 수개월간 매일 제산제를 복용하는데, 전문가 상담 없이 복용한다면 더 심각한 상태를 초래할 것이라고 하는 전문가들도 많습니다.
드물지만 속 쓰림이나 위산 역류는 식도암으로 이어질 수 있어 병원을 찾는 것이 좋습니다.
@ 항히스타민제
알레르기약으로 디펜히드라민 성분의 베나드릴과 같은 1세대 항히스타민제는 졸음과 현기증과 같은 부작용이 뒤따를 수 있습니다.
이 때문에 운전 중이나 업무시간에 복용을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타이레놀 등 몇몇 일반약의 주요 성분 중 하나인 디펜히드라민은 근육 이완제, 수면 보조제 등의 약물과 함께 복용하면 강력한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어 약사의 확인이 필요한 약품입니다.
@ 슈도에페드린
알레르기성 비염이나 코감기에 쓰이는 슈도에페드린 성분의 약은 심장 박동수를 갑자기 증가시키거나, 신경 과민증, 불면증과 같은 부작용의 위험이 있습니다.
또 일부 혈압 약과 카페인을 포함한 몇 가지 흥분제와 함께 복용하면 부작용의 위험이 따르기 때문에 의사나 약사에게 처방받는 것이 좋습니다.
임신 중이거나 고혈압, 심장계 질환을 앓고 있다면 각별히 조심해야 합니다.
'健康健康人' 카테고리의 다른 글
초미세먼지 흡입 예방법 (0) | 2016.06.15 |
---|---|
여름철 불면증 예방법 (0) | 2016.06.08 |
딸꾹질의 건강 신호 (0) | 2016.04.27 |
식중독 예방원칙 (0) | 2016.04.09 |
봄철 운동법 (0) | 2016.03.30 |